조선업계 회사의 불황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 2분기만 해도 삼성중공업은 영업 손실 1조 5481억 원, 당기순손실 1조 1550억 원에 달해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3.7% 줄었다. 또한, 대우조선해양은 영업손실 3조 318억 원, 당기순손실 2조 3916억 원을 기록했다. 하반기 역시 대규모 적자를 털어낼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회사가 임금동결을 고수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노조는 임금, 직무환경수당, 고정성과급을 합쳐 월 25만 원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 노조 역시 회사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요구를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중공업은 부분파업으로 매출 15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업은 회사의 존립보다 노조 본인의 이익만을 우선시하겠다는 이기적인 결정이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크루즈선 산업과 해양 자원 발굴과 관련된 해양플랜트산업에 집중하며 맹추격하고 있어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에서 후퇴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국내 조선사 역시 해양플랜트를 만드는 사업에 주력했으나 그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많은 적자가 발생했다. 이에 노조는 회사가 해양플랜트로 인한 적자를 임금동결로 떠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노조의 논리를 역으로 따지면 흑자를 남길 때도 회사의 덕이 되므로 노조는 성과급을 요구할 수 없다. 게다가 어떤 상황에서든 회사는 항상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해야 한다. 누구의 책임인가를 따지고만 있다가는 우리나라가 중국에게 뒤처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이런 이유로 노조 내부에서도 명분 없는 파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자 노조는 파업에 참가하는 노조원에게 파업 시 받지 못하는 임금의 70%를 현금이나 상품권으로 지급하겠다며 신뢰가 아닌 돈으로 끌어들이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모습으로는 이들이 국민적 공감을 얻어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노조는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위기에 처한 회사가 파업으로 인해 큰 손해를 얻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노조에게 돌아간다. 지금은 노사가 합심해 본업에 매진하는 것으로 조선업계에 닥친 위기를 극복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