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현수막

지난달 13일, 고려대학교(이하 고려대) 총학생회에 속한 ‘도토리 프로젝트’의 주도로 ‘주소이전 운동’이 일어났다. 이는 현재 무산된 고려대 기숙사 신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이다. 이는 학생이 주소이전을 통해 지역 유권자로 나서 주민과 동등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 시행됐다. 주소이전이란 변경된 주소를 새로 등록하는 것으로, 실제 거주하는 지역이 성북구이지만 서류상 등록된 주소가 다른 지역인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해 고려대 기숙사 수용률은 10.47%로, 전국 사립대 평균 20.51%의 절반 수준이다. 2013년 기준 비수도권 학생이 전체 재학생이 36%인 것을 고려하면 약 25%의 학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려대는 2014년 8월에 기숙사 신축을 위한 개운산 공원조성계획변경을 신청했다. 하지만 이에 성북구 주민은 환경파괴와 주민 여가권의 문제로 반기를 들었다. 이후 개운산 사랑 성북구민 연합회를 결성했고, 1만여 명의 주민이 기숙사 신축 반대 입장 성명을 제출했다. 결국, 같은 해 성북구청은 기숙사 증축 허가를 보류했다.

성북구청에서 허가가 날 시 기숙사가 신축되는 부지는 개운산 일부분으로, 수용 인원은 약 1,100명이다. 최근 고려대는 기숙사 신축 문제와 관련해 민자기숙사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민자기숙사는 한국사학진흥재단의 자립지원을 통해 건립, 운영되고 있지만 비싼 사용료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재학생의 질타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고려대 관계자는 “현재 기숙사 신축 사업이 중단돼 민자기숙사로 기숙사가 증축되는지는 정해진 사실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고려대 총학생회 측은 주민이 제시하는 환경파괴와 여가권에 대해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견해다. 주소이전 운동은 학생이 성북구 지역 주민으로 성북구와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주민과 동등한 권리를 갖고 합의점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총학생회 측에서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구의원과 주민단체를 대상으로 제안한 공청회는 무산됐으며, 이후 양측 간의 대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총학생회 관계자는 “충분히 대화로 풀어나갈 수 있는 부분인데 주민과 대화가 이뤄지지 않아 합의점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라며 아쉬움을 내비쳤다.

이에 고려대 측은 추가로 주민에게 개운산 산림 복원과 운동시설 및 편의시설 설치를 제안했다. 또한, 개운산에 있는 등산로와 사면을 정비하고 CCTV를 설치해 더욱 안전한 등산로를 제공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제안에도 주민 측은 이렇다 할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결국, 고려대 측과 구청 및 구의회, 주민 사이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아 고려대 학생의 주거권 문제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이러한 과정 중 고려대와 주민 간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성북구의 적극적인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대화의 장을 열어 고려대 측이 제시한 합의 방안의 실용성을 모든 구성원이 모여 함께 검토하고, 이후 계획대로 실천되는지 감독한다는 의지를 보이는 등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모든 의견을 총괄해 수렴하는 행정기관의 역할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아영 기자 dkdud4729@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