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8 규모의 지진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드러난 허점으로 많은 시민이 우리나라의 안전 구축 망을 비난했다. 현 기술로 미리 지진을 탐지하는 것이 가능한데도 국민안전처가 사건 10분이 지난 뒤에야 재난 문자를 보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여진이 계속되는 시점에도 대피 문자나 재난 방송이 제공되지 않아 많은 이가 혼란에 빠지는 상황이 지속됐다. 결국, 이번 사태는 안전에 무감각한 정부를 향한 ‘안전불감증’문제가 불거지는 계기가 됐다. 
 

  이 같은 정부의 안일한 대처에 몇몇 시민은 인터넷상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해 잘못 표시된 대피 방법을 정정하기도 했다. 이처럼 개인이 나서서 재난을 대비하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정부의 잘못된 대응에 대한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정부 외의 사회 곳곳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지진으로 인한 위험을 감지했는데도 공장 가동을 멈추지 않았던 H와 L사의 경우가 그 사례다. 또한, 선박 관계자가 불법으로 배를 개조하거나 화물 적재량을 초과하는 등 위험 요소를 고려하지 않아 일어난 ‘세월호 대참사’도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우리가 자각하지 못한 새에 가장 빈번히 벌어졌던 것은 바로 시민의 안전불감증으로 발생한 불상사다. 가까운 예시로, 공연을 더 좋은 위치에서 보고자 했던 개인이 환풍구의 위험성을 망각해 벌어졌던 ‘판교 환풍구 사고’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사건의 원인 제공자는 환풍구에 올라탄 개인뿐만 아니라 그 주변 상인 또한 해당된다. 환풍구를 지을 당시 사람이 올라갈 수 없도록 높게 설계하려 했지만, 상인은 상권이 가려진다며 이를 반대했다. 이처럼 개인이 사적 이윤을 좇고 안전의 중요성을 잊은 것이 이런 사고로 이어졌다.


  이외에도, 평소에 우리는 종종 무단횡단을 하고, 지하철 스크린도어가 닫히는 것을 보고도 신체를 들이미는 위험한 행동을 한다. 이는 대부분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설마 이러다 다치겠어?”라는 생각에서 벌어진 일이다. 헌데 이러한 태도를 가진 이들이 정부의 안일함만을 비판하는 것은 어딘가 모순적이다.


  그러나 국민이 자신은 위험을 간과한 채 정부의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즉, 안전불감증에 대한 이중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다. 물론,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그 전에 우선, 우리의 안일함에 대해 좀 더 되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