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대출 한도 제한대학 명단 발표

 지난달 7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학자금 대출 한도 제한대학 명단’을 발표했다. 이는 재학생 충원율, 취업률, 전임교원 확보율 등 대학 교육여건 및 성과와 관련된 지표를 활용해 총 345개의 대학을 평가한 뒤 나온 결론이다. 그 결과 ‘제한 대출 그룹’ 24개 대학과 ‘최소 대출 그룹’ 6개 대학 등 총 30개 대학이 ‘부실대학’으로 낙인찍혔다.
 ‘학자금 대출 한도 제한대학 명단’이 발표된 9월 7일은 수험생들의 수시원서 접수 기간이 시작되기 하루 전이었다. 정부는 왜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의 명단을 수시 모집 전에 발표했을까? 이는 대출한도를 설정하고 관련 정보를 교육소비자에게 제공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지난해 7월 30일에 발표된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제도인 일명 ‘든든 장학금’이 도입될 당시 우려된 학자금 대출 제도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다. 이는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출 상환율을 제고하려는 목적인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학자금 대출 제한대학 명단’의 발표로 해당 학교의 학생과 교직원들이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학자금 대출 제한대학 명단’이 흔히 ‘부실대학 명단’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학자금 대출한도를 제한받은 대학들은 앞으로 신입생 모집이 힘들어 질 것이다. 또한 현재 부실대학이라 불리는 학교 재학생들은 ‘부실대학 학생’ 이라는 선입견을 얻게 되어 외부활동이나 취업에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학자금 대출 제한대학은 대부분 지방 소재의 대학들이다. 이는 지방 대학의 붕괴가 나타나거나 대학가 주변의 상권이 무너져 지역 경제 침체와 수도권 대학의 과밀화 심화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자금 대출 한도 제한 대학들이 자구책을 마련해 회생할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 대학들이 이미지 쇄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립대학의 재정은 등록금으로 굴러간다?!

 2009년 6월 30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국 357개 대학의 예산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 알리미(http://www.academyinfo.go.kr)와 각 대학 홈페이지에 올려 사립대의 등록금 의존율이 68.9%(국·공립대는 39.8%)임을 밝혔다. 전문대와 일반대로 구분할 경우 국·공립대학은 각각 39.6%와 39.8%로 비슷했지만, 사립대학은 72.5%와 68.0%로 전문대가 일반대학보다 의존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대학은 크게 두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등록금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학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는 쉽게 해결될 수 없는 문제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대학 시설 개선, 다양한 교원 채용 등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앞서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등록금 의존율을 본다면 대학측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는 대학의 재정이 등록금으로만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 만큼 그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유럽의 많은 국가는 고등교육도 공공재라는 인식 때문에 사립대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헌법으로 의무화 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경우, 사립대학이 전체 대학의 20%이지만 정부가 사립대학 예산의 10% 정도를 지원하며, 기부금 의존도도 매우 높다. 그러나 한국의 정부 지원금은 사립대학 예산의 2%정도에 불과하고, 미국과 달리 기부 전통도 만연하지 않다.
 지난달 28일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등교육법 개정안 후속조치로, 등록금 책정에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대학등록금을 일정 수준 이상 올릴 수 없도록 하는 ‘등록금 상한제’의 내용을 담은 ‘대학등록금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대학들은 등록금 책정 직전 3년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5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등록금을 정해야 한다.
이밖에도 등록금 의존율을 낮추려면 대학에서도 재정 낭비를 줄여 효율성을 높이고 투명한 경영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동시에 사회의 대학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등록금 인상 없이 안정적인 재정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