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봉한 영화중 가장 “살아 있는” 텍스트를 고르라면, 단연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이하 <나쁜놈들>)일 것이다. 연기에 있어서라면 누구도 칭찬을 아끼지 않는 최민식과 영화판의 새로운 대세로 통하는 하정우의 호흡은 근래 본 영화중에서 최고였다. “싸워야 할 때 싸워야. 건달입니다!”라고 말하는 날 선 ‘건달’ 최형배(하정우)의 ‘간지’와 건달이 되지 못한 ‘반달’ 최익현(최민식)이 보여주는 삶의 애련(哀憐)은 <나쁜놈들>의 흥행을 견인하는 두 가지 원동력이다.
   영화 매체에서도 이 텍스트에 대한 호평과 흥미 있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나쁜놈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대략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나쁜놈들>은 캐릭터가 살아 있는 조폭영화이다. 영화의 흥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선이며, 대부분의 관객들은 이 방식으로 <나쁜놈들>을 즐긴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영화의 카타르시스는 “너 좀 맞아야 겠다”고 말하며 김판호(조진웅)의 머리를 맥주병으로 내려치는 최형배의 모습에서 정점에 이른다. 둘째, <나쁜놈들>은 악당이 돼버린 아비에 대한 기록이다. 이 시선의 포커스는 영화의 엔딩장면으로 제시되는 최익현의 늙은 얼굴에 맞춰져 있다. <나쁜놈들>은 개 같이 살며 협잡과 아부와 야합을 일삼은 남자, 하지만 피 흘리는 육신으로 가족을 껴안고 있었던 아버지에 대한 사부곡(思父曲)이다. 이 영화에 최민식이란 관록 있는 배우와 그 주름 많은 얼굴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하지만 나는 이 영화를 그렇고 그런 조폭영화나 삶이란 것이 진흙탕 싸움에 불과하다는 어떠한 순응주의(아버지에 대한 인정)에 대한 긍정을 담은 텍스트로 보고 싶지 않다. 이 영화는 <친구>처럼 폭력조직 간의 다툼을 주된 스토리로 하지 않는다. 영화의 스토리를 지탱하고 있는 세 축은 최익현과 최형배, 김판호가 아니라 최익현, 최형배, 그리고 검사 조범석(곽도원)이다. 영화 중간 최형배와 김판호의 충돌이나 최익현과 최형배의 마찰이 등장하긴 하지만 이는 짧은 에피소드에 불과하다. 영화 내내 전쟁을 벌이고 있는 주체는 한국 사회의 조직적인 폭력집단 검찰과 깡패들이다. 전쟁이라고 표현되고 있지만 힘의 우위는 공권력에 있기에 이 폭력의 정확한 명칭은 싸움이 아니라 린치이다. 그렇다면 제목을 이렇게 바꿔보는 것은 어떨까.      ‘범죄에 대한 린치: 나쁜놈들 전성시대.’ 제목이 이렇게 바뀌는 순간 뭔가 감춰진 것이 드러나지 않는가?
잘 알려진 것처럼 ‘범죄와의 전쟁’은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로 궁지에 몰린 노태우 정권이 선포한 정치적 쇼였다. 노태우 정권은 30년 넘게 지속됐던 군부에 의한 독재가 청산되는 시기였다. 청산이라고 말하지만 1990년대는 초법적인 폭력집단이 합법을 가장한 새로운 ‘나쁜놈들’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시기였다. 한국 사회의 전면에 등장한 새로운 ‘나쁜놈들’은 말할 것도 없이 검찰이다. 기소권에 이어 수사권마저 독점한 검찰을 견제할 수 있는 권력이란 거의 없으며, 이러한 오만한 검찰에 의해 어떠한 부정과 사회적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지는 너무도 잘 알려져 있다. “내가 깡패라면 넌 그냥 깡패야”라고 최익현에게 말하는 검사 조범석의 말은 허세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역겨운 현실이다. 최익현의 아들이 검사가 되는 장면으로 끝나는 영화의 결말은 이 ‘나쁜놈들의 전성시대’가 아직도 공고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영화의 영문 제목은 <Nameless Gangster>이다. 여기서 ‘nameless’는 ‘이름 없는’이란 뜻도 있지만, ‘입에 담기도 싫은’이란 뜻도 가지고 있다. ‘이름 없는 갱스터’와 ‘입에 담기도 싫은 갱스터.’ 이 제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는 각자의 판단에 달렸지만, 이것이 각기 다른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은 반드시 알아야 한다. 시차(視差)가 이해에 선행하고, 해석의 다양함이 판단을 가치 있게 만든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