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자로 발행될 예정이었던 성균관대학교 학보 <성대신문>이 발행되지 못했다. 이는 졸업식 때 1인 시위 중이던 한 시간강사와 학교의 마찰을 다룬 기사를 두고 주간교수와 기자단의 의견을 좁히지 못한 결과다. 

   주간교수의 반대에 기자단은 기사 일부를 수정하며 신문을 발행할 것을 요구했으나 주간교수는 다시 “학교와 시간강사 양측이 너무 격양된 상태이며 민감한 사안이니 보도 시점을 한 달 늦추라”고 요구했다. 이에 기자단은 “이미 졸업식 때 벌어져 화두가 됐던 사건인 만큼 시의성이 중요하고 시위가 1백 90여 일이 넘도록 계속되는데 학내 언론인 <성대신문>이 이를 보도하지 않는 것은 언론의 역할을 다하지 않는 것”이라며 기사화를 주장했다. 결국 주간교수는 결호를 선언했고 주간교수직을 사퇴함으로써 결호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고 했으나 학교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성균관대 기자단과 주간교수 간 마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 주간교수는 그간 반값등록금 기사, 비정규교수노조 분회장 인터뷰, 대학원 총학 선거 관련 독자투고를 비롯한 여러 기사를 수정하거나 다른 기사나 광고로 대체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성대신문 기자단은 주간교수에 대한 불신임을 선언하고 주간교수가 교체되기 전까지 신문 발행을 잠정 중단한 상황이다. 이어 기자단은 제호 없이 20일 자의 호외 신문을 발행해 배부하고 있으며 학교 곳곳에서 <성대신문> 지지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 같은 편집권에 대한 대학본부와 대학언론 간 갈등이 더욱 드러나고 있다. 몇몇 학교는 학보가 배포되기 전 학생기자와 논의 없이 마음대로 기사를 넣고 빼는 작업을 하기도 하고 학교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학보사 예산을 삭감하기도 했다.

   학보사는 학교의 부속기관으로 발행인은 해당 대학의 총장이다. 하지만 이를 이용해 학교의 입맛에 맞게 기사를 넣고 빼는 수정작업은 학생들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대학언론이 갖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위이다. 대학 신문은 대학 내 소식을 알림과 동시에 비판의 기능도 가져야 한다. 학교의 바람대로 좋은 소식을 전하는 것은 ‘학교신문’으로서 ‘대학 홍보’를 하는 것이지 ‘학생신문’으로서 ‘대학언론’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제대로 된 언론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편집권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학교는 대학언론이 학교를 비판하는 것이 거북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는 언론의 비판과 감시가 학교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함을 알고 언론의 역할을 존중해 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