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G20 정상회의의 대장정이 이번 달 12일이면 끝이 난다. 이번 서울 G20 정상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각 분야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의 상승을 전망했다. 또,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국가라는 것을 전 세계에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게 됐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반세기 전만 해도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지금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며 원조국의 반열에 올라섰기 때문이다.
 일분일초가 아까운지 정부에서는 텔레비전 광고까지 동원해 서울 G20 정상회의를 띄우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적 이미지와 가치를 올린다는데, 나쁠 것이 뭐가 있겠는가. 그러나 ‘상생(相生)’이 최대 모토인 G20을 개최하겠다는 국가는, 누군가의 인권을 짓밟는 일을 서슴지 않았다.
 이번 달 11일부터 12일, 이틀에 걸쳐 열리는 서울 G20 정상회의를 여섯 달 정도 앞둔 지난 5월, ‘G20 대비 노숙인 대책회의’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주재로 열렸다. 경찰청과 국토해양부,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행정안전부 등이 참여한 이 회의의 숨은 의제는 “거리에서 노숙인을 치워라!”였다. 국토해양부는 매입임대주택을, 보건복지부는 노숙인 쉼터를 마련해 놓고 기다린다. 그럼 경찰은 노숙인을 ‘잡아 와’ 그곳에 넣어버린다. 이것이 회의에 참여한 기관에 떨어진 과제이자 임무였다. 노숙인의 의사 따위는 필요 없다. 참가국 사람들에게 거리의 노숙인을 보여줘서는 안 된다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물론,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이 밝혀지면서 국가는 이 내용을 조용하게 묻어버렸다.
 노숙인의 수가 급증한 것은 외환위기가 불어 닥친 1998년 이후다. 즉, 노숙인이 거리가 좋아 나온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G20 정상회의의 큰 목표는 ‘상생(相生)’이 아니던가. 조화를 이루기 위한 행사인데, 오히려 조화를 위한 인권 침해가 당연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번 서울 G20 정상회의로 외부적인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을 위해 누군가의 인권을 제 멋대로 짓밟은 죄 아닌 죄는 어떻게 할 것인가. 국민의 혈세도 일정 들어갔으니 우선, 행사를 잘 끝마쳐야 한다. 그후에, 국가는 그간 짓밟은 인권에 대해 입을 열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