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2005) - 김재영/실천문학사

소설기법으로 파헤쳐보는 디아스포라 이야기

『코끼리』(2005) - 김재영/실천문학사
 
한 때 단일민족을 표상하던 우리나라가 어느 순간부터 ‘다문화 사회’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으로 이주해오는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쉴 새 없이 늘어나는 다문화 가족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였고, 차가운 반응을 보이는 한국에 적응하지 못한 이주 노동자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겪기 시작했다. 이는 디아스포라와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란 ‘이산, 분산’이라는 뜻으로, 원래는 팔레스타인 외역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던 유대인을 이르던 말이었다. 하지만 최근 ‘디아스포라’는 타국에 소수자로 존재하는 공동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일반화됐다. 결국, 세계 곳곳에 흩어져있는 민족의 형태를 뜻하게 된 것이다. 이들의 이야기를 다룬 것이 바로 디아스포라 문학이다. 즉, 국경을 건너온 사람들의 정체성 혼란에 대한 이야기가 서술돼 있다면 디아스포라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김재영의 단편소설집 『코끼리』 중 소설 「코끼리」는 이주 노동자의 불행한 삶을 열세 살 아이 아카스의 시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아카스는 네팔인 아버지와 조선족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으며, 문서상 존재하지 않는 아이다. 이주 노동자 자녀들은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한국 국적을 부여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카스의 어머니는 의료보험조차 없는 처지를 견디지 못하며 집을 떠난다. 결국 아이는 외국인 노동자라는 신분을 가진 아버지와 단 둘이 살아간다.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정체성의 혼란’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아카스의 아버지는 언젠간 다시 돌아갈 네팔을 생각하며 고된 현실을 이겨내려 한다. 하지만 네팔을 가본 적이 없는 아카스는 그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 아버지는 그리워할 수 있는 고향이 있고 나라에 소속돼 있는 구성원이지만 아이는 네팔과 한국, 두 국가 중 어느 곳에서도 속하지 못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아카스는 한국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은 자신의 피부색 때문이라 여겨 표백제로 세수하며 현실을 부정하려 한다. 또, 아버지가 네팔 음식인 로티를 손으로 찢어 먹으라고 하지만 한국인이 되고 싶은 마음에 젓가락질을 한다. 아카스의 이러한 행동은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이주 노동자의 모습을 보여주며 디아스포라의 실상을 드러낸다.
「코끼리」에서는 다양한 소설기법을 통해 디아스포라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카스를 열세 살 아이로 설정 한 이유는 무엇일까. 어른도 아이도 아닌 애매한 나이를 설정함으로써 중간자 시점을 유지해 현실을 낭만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1인칭 기법으로 서술한 이유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인물의 심리를 직접 드러내면서 아이의 내면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소설 「코끼리」는 플롯(개별적인 사건의 나열)보다는 ‘묘사’에 치중하고 있다. 현실의 묘사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함으로써 이주 노동자의 가혹한 환경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결국 어떤 방식으로도 절망감을 벗어날 수 없다는 좌절과, 꿈꾸기만 하는 희망을 인상적으로 그려내기 위한 것이다.
아카스 외에 다른 외국인 노동자의 이야기도 그려내고 있다. 아들의 수술비를 위해 모은 돈을 도둑맞은 비재아저씨는 결국 폭력이라는 수단으로 남의 돈을 빼앗는다. 또한, 쉴 틈 없이 혹사당하면서도 성실하게 살아갔던 쿤 형은 노동 중에 손가락이 잘리고 만다. 「코끼리」에서는 ‘외(소용돌이)’를 지속적으로 언급하면서 이 같은 외국인 노동자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을 드러내준다. 끝없이 소용돌이치는 ‘외’의 어둠 속에서 빠져 나올 수 없는 이주노동자와 그들의 자녀들. 결국 아카스 역시 어떤 노력을 하더라도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라는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디아스포라의 존재감이 부각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실제로 소설의 배경이 되는 ‘식사동 가구공단’은 그 지역 인구의 15%가 이주노동자라고 한다. 소설 「코끼리」에서 그려진 것과 같이 세계화로 인해 증가한 이주 노동자는 한국사회 다문화의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 디아스포라 문학은 우리 사회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한 모습을 정확하게 간파해 주는 역할도 한다. 이는 디아스포라 문학이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고은미 수습기자 rhdmsal140@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