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개최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갑론을박 중이지만 이번 올림픽은 예정대로 단독 개최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구닐라 린드베리 조정위원장은 이미 올해 1월에 분산 개최는 없다며 논란을 일축하기도 했다.
 

  올림픽은 비즈니스가 아니라 인류 평화와 화합을 위한 무대다. 사실 동계올림픽은 대표적인 고비용 저효율 구조다. 종목 특성상 경기장 건설에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하계올림픽보다 흥행 효과는 크게 떨어진다. 2010년 개최지 캐나다 밴쿠버와 나가노 등 대부분의 동계올림픽 개최지가 ‘올림픽의 저주’에 시달리는 이유다. 하지만 경제 논리로만 생각하면 대회를 개최할 도시는 어디에도 없다.


  또한, 대회가 얼마 남지 않은 지금, 타 지역에 올림픽을 위한 환경구성을 새로 시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개최를 위해서는 경기장뿐만 아니라 숙박시설, 경비, 교통, 통신 등 모든 연계시설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겨울올림픽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춘 도시는 전 세계에 얼마 되지 않아 이번 대회를 개최할 도시 모두 공사를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분산 개최할 지역에 제반시설을 2년 동안 빠르게 증축할 수 있어야 하며 평창과 그 지역을 연결하는 인프라도 설치해야 한다. 설령 연결했다고 하더라도 경기장이 분산되면 행정력도 흩어지므로 시행착오가 생긴다. 결국, 혼란만 가중될 것이다.


  마지막 문제인 사후 경기장의 활용은 차후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노르웨이에서 개최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지로 항상 손꼽힌다. 인구가 3만 명도 되지 않는 소도시인 데다가 수도와의 거리도 서울과 평창 간 거리보다 멀지만, 다른 도시와의 분산 개최 없이 올림픽으로 약 3억5000만 달러의 흑자를 남겼다. 이후 겨울 관광지로도 이름을 알리며 지금까지도 관광으로 흑자를 보고 있다. 이번 평창 올림픽 역시 릴리함메르를 본보기로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이미 예산도 확정됐고 착공도 이뤄져 강원도에서 자체운영이 가능한 만큼 더 이상의 분산 개최 주장은 무의미하다. 이제는 단독 개최를 통해 적은 비용으로 충분히 남은 자원을 활용하며 적자를 줄일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우선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