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학교, 상이한 입장 보여
본교, “등록금 반환 논의는 시기상조”

​△‘적절한 등록금 반환 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
​△‘적절한 등록금 반환 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
△‘적절한 등록금 반환 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
△‘적절한 등록금 반환 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다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사태로 온라인 수업이 지속됨에 따라, 등록금 반환 문제 또한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 종강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등록금 반환에 대한 재학생들의 생각은 어떨까. 본지는 이를 알아보기 위해 재학생 690명을 대상으로 등록금 반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재학생, “코로나로 절감된 비용 돌려받아야”
  지난달 25일부터 일주일간 시행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9%(683명)가 ‘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복수 응답 허용)’는 질문엔 ‘학교 시설 이용 불가’가 93.9%(641명)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온라인 강의로 인한 수업의 질 저하’가 86.2%(589명), ‘교내 행사 취소’가 64.3%(439명) 순으로 높았다. 비대면 강의로 인해 학교 건물 출입이 어려워지면서, 등록금에 포함된 시설이용비 등을 돌려받아야 한다는 것이 학생들의 생각이다. 예술대학의 한 학우는 기타의견을 통해 “실기 수업이 이뤄지지 못해 4학년임에도 졸업공연, 학기 공연 연습을 전혀 하지 못했다”며 등록금 부분 반환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적절한 등록금 반환 방식 비율에 대해선 ‘등록금액의 50% 반환’이 49.2%(304명)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등록금액의 70% 반환’이 23.5%(145명)이 그다음을 차지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기 때문에 등록금에 포함된 시설사용료, 관리 운영비, 실험실습비, 재료비 등의 지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익명의 한 학우는 “온라인 강의로 인한 지출이 발생하면 이는 등록금 회계가 아닌 학교 기금인 적립금 및 비등록금 회계를 통해 충당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응답자 중 72.7%가 등록금액의 절반 이상을 반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가운데, 본교는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요구를 인지하고 있을까.

비대위, “종강 이후 요청서 보낼 것”
  먼저 학교는 교육부의 지침이 나오지 않아 섣불리 대답할 수 없다며 현재로선 정부의 지원 없이 등록금 반환은 어렵다고 밝혔다. 예산관재처 함현철 처장은 등록금 수입의 감소를 그 이유로 들었다. 함 처장은 “10여 년간 지속적인 등록금 인하 및 동결과 학생 수 감소 등으로 고정비 지출이 등록금 수입을 초과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등록금 수입대비 적자예산을 편성하고 있으나, 방역비용과 온라인 수업에 따른 추가비용이 늘어난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종강 이전에 ‘코로나 관련 증감 비용’을 설명하는 자리가 개최될 가능성은 있을까. 이 또한 진행될 가능성이 낮다. 학교 측에서 예산은 1년 단위로 집행되므로 현시점에서 명세를 공개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본지와의 통화에서 함 처장은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추후 ‘교학소통ARETE’ 혹은 학보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 관련 증감 비용’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만들 의향은 있다”고 답했으나,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은 상태다.


  한편, 중앙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등록금 반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학교에 두 차례 요청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요청서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실질적인 면담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에 비대위는 종강 이후 새로운 요청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이들은 7월 중 교학소통ARETE를 마련해 등록금 반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하주언 기자 gkwndjswn2@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