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모나코에서 열린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올림픽 아젠다 2020’이 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올림픽 개혁안은 총 40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대회 개최 비용 절감, 2개 도시 혹은 2개국 분산 개최 가능, 개최도시의 정식종목 추가권 등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우리나라의 환경단체, 시민단체는 평창올림픽의 분산 개최에 대한 목소리를 드높이고 있다. IOC 측도 평창올림픽의 적자, 경기장의 사후 관리 등의 우려로 올림픽 아젠다 2020을 들며 분산 개최를 권고했다. 그러나 평창조직위는 단독 개최하기로 했다.

조직위는 초기에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며 평화와 환경을 올림픽 비전으로 내세웠다. 분단국가의 ‘강원도’라는 지리적 위치를 잘 활용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올림픽에 대한 남북 간 대화가 전혀 없고, 경기장을 짓기 위해 가리왕산을 훼손함으로 환경에 대한 의미도 사라져버렸다. 특히 활강경기장이 들어설 예정인 이 가리왕산은 2008년 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생태경관 보호지역, 유전자원보호림으로 이중 지정해 지금까지 생태계를 보전해왔다. 이러한 곳을 단 일주일간 열릴 경기를 위해 벌채 중이다. 가리왕산의 숲은 생태적으로 다양한 서식형태를 가지고 있어 단일한 방식으로 쉽게 복원할 수도 없다. 또한, 숲이 서로 연결돼 있어 한 지역이 파괴되면 다른 지역까지도 영향이 미친다.

환경 파괴뿐 아니라 도민에게로 넘어갈 부채 또한 문제다. 올림픽은 16일간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등에서 열릴 예정이다. 현재 경기장, 도로 등이 부족해 건설 중이다. 또 강릉시에만 빙상장 4개가 건설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들의 사후활용계획은 딱히 없다. 현재 강원도의 재정 자립도는 전국 17곳 중 15위다. 이렇게 되면 경기장 철거 비용, 만약 그대로 둘 때 발생하는 유지비용 등 올림픽 후 드는 비용은 모두 도민의 책임이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동계올림픽의 경제효과는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이 때문에 북유럽 국가들은 유치 경쟁에 참여하지 않고 있기도 하다. 나가노와 밴쿠버, 소치 모두 ‘적자’ 올림픽으로 끝이 났다. 이처럼 평창 단독 개최는 위험을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 이러한 부분을 감수할 정도로 단독 개최가 가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한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