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라와 옹달샘, 그리고 막말하는 인터넷 문화

2013년 장동민과 유세윤, 유상무가 진행했던 팟캐스트 ‘옹달샘과 꿈꾸는 라디오’는 인터넷 방송이 가진 전형적 특징이 넘쳐났다. 그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마이너 정서가 자극적인 폭력성과 만나면서 기막힌 막말의 카타르시스를 만들어냈다. 특정 사람들을 세워놓고 비아냥대고, 욕설을 퍼붓고, 자기들끼리 키득대며 좋아하는 문화. 막말이 팟캐스트 방송에서 스스럼없이 던져졌고, 심지어 일부 팬은 그것에 호응했다.

물론 논란이 끊이지 않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마이너한 틀 안에서 벌어졌다. 하지만 장동민이 예능계의 유망주로 급부상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들이 이제 메이저의 세계로 들어오자 그간 마이너라는 틀에서 쏟아냈던 막말들은 부메랑이 돼 그들에게 고스란히 돌아왔다. 여성을 비하하고 삼풍백화점의 피해자를 모욕하는 막말은 입에 담기도 어려울 정도로 참혹했다. 2년 전에 했던 막말이지만 그 말들은 마치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그들의 부상과 함께 떠올랐다. 수면 아래 있을 때는 응당 ‘거기는 원래 그래’ 했던 것이 이제 수면 위로 올라오니 한없이 부끄러운 일이 됐다. 하차 요구가 이어지고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하차시킬 것인지 잔류하게 할 것인지 연일 고민 중이다.

막말의 문제는 김구라가 위안부 발언으로 모든 방송을 잠시 떠나게 되면서 이미 그 귀결을 보여줬던 것이기도 하다. 김구라는 지상파로 들어오면서부터 과거 인터넷 방송에서 자신이 했던 인신공격성 발언을 부담으로 느꼈다. 그래서 <절친노트>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언제고 터질 이 사태를 대비해온 면이 있다. 그러다 위안부 발언이라는 거대한 암초를 만나자 그는 이미 예측했다는 듯이 선선히 모든 프로그램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돌아온 김구라는 달라져 있었다. 그는 독설과 막말을 버리고 직설을 하기 시작했다.

독설과 직설 그리고 막말. 다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다르다. 독설은 한마디로 독한 말이다. 차마 입으로 내놓기 어려운 말이지만 독하게 내놓기 때문에 독설이다. 그것은 타인에게 상처를 준다. 하지만 직설은 다르다. 직설은 에둘러 말하지 않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독하고 거친 표현으로 내뱉는 말은 아니다. 과거 막말이 문제가 돼 하차했던 김구라는 돌아와서는 직설로 노선을 바꿨다.

그렇다면 장동민은 어떤가. 현재는 독설과 직설을 오가는 방송을 하고 있지만 2013년 당시 팟캐스트를 통해 내뱉은 말들은 ‘막말’이었다. 대중은 독설은 불편해하고 직설은 속 시원해하지만 막말은 견디지 못한다. 막말은 표현의 문제가 아니라 아예 개념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 장동민은 기자회견에서 “‘재미있으면 되겠지’란 안일한 생각을 가졌었다”고 참회했다. 막말이 그렇다. 누군가의 재미를 위해 마구 던진 말은 누군가에게는 큰 상처가 된다. 이번 옹달샘 사태는 지금의 막말이 넘쳐나는 인터넷 문화를 다시 들여다보게 한다. 그것은 과연 직설의 속 시원함을 보여주고 있을까. 혹시 수위를 넘어 막말로 치닫고 있는 건 아닐까.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