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권위에서 실시한 설문 중 '혐오 표현 규제 정책 선호도'에 대한 응답이다
△ 성인권위에서 실시한 설문 중 '혐오 표현 규제 정책 선호도'에 대한 응답이다

  지난해 11월, 교내에선 ‘#1125혐오표현해방’ 운동이 일은 바 있다. 본 운동은 A 교수의 낮은 인권 감수성이 대자보를 통해 폭로되자, A 교수가 ‘반박자보’를 게재한 사건에서 시작됐다. 재학생들은 A 교수의 혐오 발언에 대항하고자 실명자보, 포스트잇, 해시태그 릴레이를 이어나갔고, 이를 통해 교·강사의 혐오 표현 문제가 가시화됐다. 혐오 표현 해방의 목소리가 이어진 지 1년이 지난 지금, 본교엔 변화가 생겼을까.         
  우선, 지난해 12월 제2대 성인권위원회(이하 성인권위)와 제53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교·강사 혐오 표현 대응을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본 설문의 목적은 교·강사 혐오 표현 사태의 해결과 제도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이었다. 올해 2월, 이들은 ‘동덕 교·강사 혐오 표현 대응 협의체’를 결성해 학교 측에 해당 설문을 바탕으로 한 제도적 방안 구축을 요구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같은 달 진행된 교학소통 ARETE의 참여 가능 단체에서 성인권위가 배제되면서, 해당 안건의 협의는 사실상 무산됐다. 이에 따라 설문의 ‘혐오 표현 규제 정책 선호도’ 항목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던 △혐오 표현에 대한 징계 △인권 감수성 관련 항목을 추가한 강의평가 설계 등의 실질적 제도는 여전히 부재한 상태다.                                         
  현재 성인권위는 혐오 표현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텀블벅 프로젝트 △혐오 표현 에세이 공모전 △‘#1125혐오표현해방’을 주제로 한 메일링 서비스 등의 활동을 진행했다. 더불어, ‘인권 감수성 관련 항목을 추가한 강의평가 설계’를 재추진할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 논의를 촉구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비대위의 임기가 끝나면 해당 논의가 이뤄질 ‘동덕 교·강사 혐오 표현 대응 협의체’의 지속 여부도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학생사회 내 연대와 결집이 이뤄진 지 1년이 지난 지금, 혐오 표현 대응을 위한 제도가 마련될 수 있을지 성인권위의 행보가 주목된다. 


전감비 수습기자 rkaql0502@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