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일본군 위안부는 강제 동원된 성노예가 아닌 자발적 매춘부였다’는 내용이 담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마크 램지어의 논문이 화두에 올랐다. 이후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잘못을 시인했지만, 여러 학계와 시민사회에선 그를 향한 규탄이 이어지고 있다.

  램지어 교수의 주장에는 논리적 공백이 존재한다. 그는 위안부가 스스로 매춘 계약을 맺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사실을 입증할 계약서조차 제시하지 못했다. 게다가 논문의 참고문헌에 실린 ‘KIH’라는 사이트는 검증되지 않은 개인 블로그로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한 그의 주장은 불합리하고 임의적인 해석일 수밖에 없다.

  허나 그의 만행이 터무니없다고 하더라도, 이를 절대 가벼운 일로 여겨선 안 된다. 램지어 교수는 인권 침해에 의한 위안부 피해자의 손해 배상 권리를 불필요한 요구로 표방했으며, 현재 살아계신 생존자의 증언마저 허위 사실로 치부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그들을 향한 n차 가해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 분명하다. 

  이번 논란에서 알 수 있듯, 역사를 왜곡하는 세력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역사는 있는 사실 그대로 인정받아야 한다. 한 개인의 자의적 추론으로 결을 달리해서는 안 되며, 불순한 목적을 가진 집단에 의해 왜곡되는 일 역시 있어선 안 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학문의 자유’라는 주장을 펼친다.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학문의 자유가 그에게 면죄부가 될 수 없다. 자유라는 이름으로 허위 주장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그저 왜곡을 옹호하는 형체 없는 폭력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 역사 왜곡 문제로 미뤄봤을 때 위안부 문제는 국제사회에 널리 공표돼야 할 뿐 아니라,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의 관점을 우선해 바라봐야 한다. 올바른 역사 인식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역사의 정의’가 본뜻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젊은 세대의 관심과 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과거의 일이라고 경시하기보단, 능동적으로 해결책을 강구하고 의논하는 태도가 이들에게 필요하다. 더불어 정부는 역사 왜곡 사태를 특정 개인의 일로 단정 짓지 않고, 이에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이, 칼날이 돼 돌아오지 않도록 현안에 지속해서 관심을 두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다.

최유진 정기자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