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부터 이번 달 5일까지는 제16회 도쿄 패럴림픽(장애인 올림픽) 기간이다. 이를 기념하며, 장애인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본 책 『특별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과 미국의 장애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위해 투쟁한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크립 캠프 - 장애는 없다>를 감상해봤다.

 

Ⓒyes24 이미지
Ⓒyes24 이미지

장애 인식 개선에 한 걸음 다가가다
  ‘모든 사람이 장애인도 우주선에 타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기는 세상이 살기 좋은 세상 아닐까요?’ 책 『특별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속의 한 구절이다. 이 작품은 장애인복지위원회와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 등 여러 장애 인권 단체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작가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장애 인권에 관한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우선, 이 책은 장애인이 겪는 불편한 문제 상황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작가는 세 살 무렵 소아마비로 인해 지체 장애를 갖게 됐고,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오른쪽 다리에 보조기를 끼고 생활한다. 이러한 작가의 생생한 경험이 책 곳곳에 적혀 있어, 장애인이 살아가면서 실질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보게 된다.

  다만, 문제 상황만 제시하고 있을 뿐 이에 대한 해결책은 심도 있게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선 아쉬움이 남는다. 한 예로, 작가는 갖은 문제를 지닌 대중교통의 대안으로 등장한 ‘장애인 콜택시 제도’를 언급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운영 중인 택시 수가 부족해 실제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없었다. 더불어, 책에서 문제 상황을 주장하는 그의 말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점도 설득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그의 주장 대부분이 공식 통계자료나 인터뷰 인용 없이 작가 개인의 생각으로만 적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비장애인들이 ‘장애’에 대해 느꼈던 거리감을 좁힌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누구나 하루아침에 장애를 갖게 될 수 있다. 멀고 낯설게만 느껴졌던 장애가 ‘내 일’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 점을 유념해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장서율 기자 loveyul01@naver.com

 

Ⓒ넷플릭스 이미지
Ⓒ넷플릭스 이미지

공감에서 시작하는 장애 인권 높이기
  1952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미국의 뉴욕주에선 여름마다 ‘캠프 제네드’가 열렸다. 캠프 제네드는 청소년 장애인에게 적합한 공동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작된 캠프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영화 <크립 캠프 - 장애는 없다>는 이곳에 모인 장애인들이 자유로운 일상을 보내는 모습을 기록했다. 

  캠프 제네드에서 참가자들은 평소엔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다양한 활동을 경험한다. 다 같이 모여 민주적으로 저녁 식사 메뉴를 의논하기도 하고, 기타를 연주하거나 서로 도와가며 야구나 수영을 하기도 한다. 특별한 연출 없이 이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낸 영화는, 현실과 극적으로 대비돼 관객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캠프 제네드의 자유로운 생활을 통해 실제 사회에서 장애인이 겪는 불편을 더욱 체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영화의 배경은 1970년대의 미국 사회로 전환된다. 당시 미국 정부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장애인 차별을 금지한다’라는 조항의 『재활법』 504조를 무효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과거 캠프의 참가자들은 이러한 사회에 맞서 약 한 달간의 농성에 참여하고, 투쟁 끝에 『재활법』 504조가 집행되는 쾌거를 이뤄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부당한 사회에 대항하는 그들의 굳센 의지를 느낄 수 있어, 관객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재활법』 504조는 2007년 제정된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반이 됐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크립 캠프 - 장애는 없다>는 장애 인권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장애인들의 모습을 여과 없이 담아내, 앞으로도 되새겨볼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김수인 수습기자 cup0927@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