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92.5%, 공식적인 흡연 구역 지정 촉구
학교 측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 답변 어려워”

△대학원 매점 뒤 야외 테라스에 재떨이와 금연구역을 알리는 스티커가 함께 놓여있는 모습이다
△대학원 매점 뒤 야외 테라스에 재떨이와 금연구역을 알리는 스티커가 함께 놓여있는 모습이다

 

  “흡연솜 눈치 좀 그만 줘요. 우리가 학우들 사이에서 연기 뿜어내면서 걸어 다녔나요?”, “기숙사 밖에서 담배 냄새 맡고 기절할 뻔했어요.” 에브리타임(이하 에타)에 ‘흡연 구역’을 검색하면 여러 학생의 불만이 우후죽순 쏟아져 나온다. 3년 만에 대면 수업이 재개됨에 따라 학내 흡연 문제에 다시 불이 붙은 것이다. 이처럼 흡연 구역에 대한 학생들의 논쟁이 끊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학내 흡연 구역, 과연 존재할까
  지난달 13일, 본지 온라인 기사의 캡처본(본지 보도 2014년 11월 13일 제449호 1면)과 함께 학내 흡연 구역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우 A 씨의 글이 에타에 올라왔다. A 씨는 ‘교내 전체를 금연 구역으로 지정했으며 흡연자를 위한 교내 흡연 구역을 따로 지정해 운영한다고 알렸다’는 기사 본문을 바탕으로 학내에 흡연 구역이 존재하고 있던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학우 B 씨는 본지 온라인 기사의 링크(본지 보도 2019년 11월 13일 제508호 1면)를 첨부하며 반박했다. 해당 기사에는 ‘학교가 공식적인 흡연 구역을 지정하지 않았다’고 적혀있었기 때문이다.

  분분한 주장 속에서 보다 많은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본지는 지난 14일부터 2주간 266명(흡연자 82명, 비흡연자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복수 응답 허용) 학생들은 흡연 구역이라고 생각하는 장소로 △대학원 1층 매점 뒤=52.3%(139명) △백주년기념관 6층 야외 테라스=37.2%(99명) △인문관 옆 공원=22.9%(61명) △학생관과 동인관 사이=22.2%(59명) △대학원과 인문관 사이=22.9%(61명) △숭인관 2층 입구=12.8%(34명)를 꼽았다. 반면 캠퍼스 전체를 금연 구역으로 생각한다는 항목을 선택한 학생은 25.6%(68명)였다.

건물 안 금연, 건물 밖은 미지수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발표한 ‘2022년 금연구역 지정 관리 업무지침’에 따르면 대학교는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 제4항 제7호에 의거해 캠퍼스 내 모든 교사시설(건물)이 금연 구역이다. 본교 역시 지난해 2월 21일, 본교 포탈 공지사항을 통해 교내 전체 건물 내부를 금연 구역으로 지정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렇다면 건물 밖 공간도 금연 구역인 걸까. 학생지원팀 심기중 직원은 “일부 학생이나 교직원들이 주로 흡연하는 장소에 재떨이와 같은 흡연 관련 기구를 설치한 것은 맞다”고 말했다. 그러나 본교는 공식적으로 학내 야외 공간에 흡연 구역을 지정한 적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기자가 건물 밖 흡연 구역 제정에 대해 총무인사팀에게 문의했으나 ‘내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는 이유로 확실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야외의 경우 대학 측이 자유롭게 흡연 구역을 정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다만 실외 흡연실(또는 흡연 구역)은 건물 외벽을 기준으로 사방 10미터 이상 떨어진 거리에 설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추후 기준에 맞게 흡연 구역을 지정하고자 해도 현재 학내 구성원들이 담배를 피우는 장소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학생 모두의 권리를 위해서
  공식적 흡연 구역 지정에 대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은 92.5%(246명)로 거의 전체에 근접한다. 이들은 △간접흡연 방지 △흡연권 보장을 근거로 ‘본교의 공식적 흡연 구역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타 대학(△건국대 △광운대 △명지대 △숙명여대 등)은 캠퍼스 내에 흡연 장소를 마련했다. 본교 역시 오랜 시간에 걸쳐 학생 사이에서 흡연 구역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확실한 대책이 강구되는 시점이다.

송영은 기자 syet0530@naver.com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