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우들 사이에서 본교의 교화인 목화와 목화 캐릭터가 새겨진 학교 잠바, 학용품 등의 굿즈(Goods)를 ‘공동구매’하는 것이 인기입니다. 이는 총학생회에서 진행하기도 하지만, 보통 일반 학우가 제작부터 배포까지 담당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우선, 수량조사와 단가조절 등을 담당하던 학우가 갑자기 사라져 상품의 공동구매가 무산될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전에 진행된 수량조사 결과와 달리 실제로 비용을 입금한 학우의 수가 저조해 공동구매가 물거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학교 측이 직접 굿즈 사업을 이끌어나갔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여러분은 학교 굿즈의 제작과 판매방식이 어떻게 운영되기를 원하시나요?

 

공동구매에서 생기는 문제가 대부분 제작 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굿즈에 대한 아이디어나 디자인은 학생이 제시하지만, 제작 및 판매는 학교 측이 담당하는 방식으로 운영됐으면 한다. 학교가 일방적으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보다 학우가 직접 제안하면 다양한 의견이 반영돼 굿즈 물품이 더 큰 호응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단가조절과 업체 선정 등의 행정적인 일은 학생 개인 보다 학교의 행정담당자가 맡는 게 공동구매의 진행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 여겨진다.

남지수(문헌정보15)


학교 측에서 공식적으로 굿즈 판매사업을 진행하기를 원한다. 고려대학교처럼 문구류와 의류 등 다양한 물품을 제작해 판매하는 굿즈샵을 설치하면 어떨까 싶다. 이는 백주년 기념관 지하에 있는 빈 공간에 마련하는 것을 추천한다. 게다가, 이렇게 학교 측이 사업을 직접 진행하면, 수익 창출로 이어져 학교 운영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창구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한편, 우리 학교는 학생들에게 홍보 방안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학교가 담당하는 굿즈 물품을 입시 박람회나 캠퍼스 투어 등의 행사에서 수험생에게 배포하면 분명 좋은 홍보수단이 될 것이라 본다.            

오하림(국어국문16)



총학생회(이하 총학)가 직접 학교 굿즈의 제작 및 판매를 담당하는 부서를 조직하길 바란다. 담당 부서가 생긴다면 학생 개인이 공동구매를 진행할 때보다 작업의 진척이 더 빨라질 것이다. 또한, 총학이 공동구매를 진행하게 되면 지금처럼 이를 주최한 학우가 갑자기 사라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판매물품의 정보와 입금 기간을 페이스북 페이지와 동감 게시판에 확실히 공지하고, 제작비가 나와 있는 영수증을 첨부하면 신뢰가 형성돼 학우들의 의심을 사는 일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기선(국사16)


본교 커뮤니티 사이트인 동감(dong-gam.net)에서 공동구매 게시판을 활용해 굿즈 제작과 판매를 모두 맡아 운영했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 굿즈를 주문할 때 구매양식을 작성하고 입금을 따로 해야 하는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졌다. 그래서 운영체계가 잡혀있는 커뮤니티 사이트가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도입해 공동구매 게시판을 온라인 쇼핑몰처럼 새롭게 구성하면 좋겠다는 생각하게 됐다. 그러면 카드결제도 가능해져 한층 더 주문과 입금 과정이 간편해질 것이다.
                                         

김유나(영어17)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