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뚤어진 문화계 권력시스템은 문화적 적폐

  ‘나도 당했다’ 할리우드의 스타들이 시작해 촉발된 미투 운동은 이제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 성폭력 피해 폭로로 촉발되며 문화계로도 확산되고 있다.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곤 했던 고은 시인과 연극계의 거장 이윤택 연출가의 충격적인 성추행 사례가 폭로됐고, 배우 조민기의 청주대학교 학생을 상대로 벌어진 성추행 사태가 폭로되면서 미투 운동은 대중문화계에서도 확산일로에 서게 됐다.

사실 문화계의 이런 성폭력 사건들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우리에게 이미 잘 알려진 ‘故 장자연 사건’은 대표적이다. 무수한 의혹이 쏟아져 나왔지만 당시 이 사건의 진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건 성폭력 사안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 지금과는 조금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만 해도 성폭력 사안, 그것도 연예계에서 벌어지는 사건은 피해자에 대한 비뚤어진 시선도 존재했고, 또 그런 일들이 너무 비일비재해 사건의 중함에 둔감했던 면도 있다. 물론 여기에는 잘못된 언론의 물 타기 같은 관행이 작용한 면이 있지만.
 
  하지만 어쨌든 지금은 성폭력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졌다. 미투 운동의 영향으로 피해자가 아닌 ‘생존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생겼고, 이들의 폭로가 ‘내부고발’이 아닌 ‘용기 있는 선택’ 이라는 관점이 부여됐다. 여기에 최근 문재인 정부 이후 국민들의 요청인 ‘적폐 청산’의 하나로서, 성폭력 사건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선 비뚤어진 권력시스템의 문제라는 인식도 생겨났다. 이른바 미투 운동은 ‘문화적 적폐’를 깨는 일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문화계에서 터져 나온 사건을 들여다보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바로 권력구도다. 고은 시인으로 대표되는 문단 내 권력이 그렇고, 이윤택 연출가로 대변되는 연극계의 권력, 조민기 사태에서 보이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권력 구도가 그것이다. 결국 그 권력구도에 의해 당연한 관행처럼 벌어지던 폭력의 양태가 드러난 것이고, 미투 운동은 그 잘못된 권력시스템을 척결해야 한다는 목소리인 셈이다. 
 
  따라서 가해자의 사과 몇 마디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범죄적 행위에 대해서는 그만한 단죄가 반드시 이어져야 하고, 잘못된 권력시스템은 혁파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가해자는 버젓이 백주대로를 다니지만 피해자는 숨어 지내게 만드는 성폭력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생존자들의 용기 있는 폭로에 아낌없는 지지가 이어져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