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 보궐선거인 6.13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 왔다. 그러나 선거벽보가 붙여지고 본격적인 13일간의 유세가 시작되었지만, 눈이 띠는 선거의 공약이나 이슈를 찾아보기 힘든 것이 올해 선거의 특성이다. 국제적으로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정치적 어젠다를 둘러싼 패권 장악의 힘겨루기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전지구적인 상황에서 로컬적인 선거는 묻혀버릴 수 있는 사안이기도 하지만, 현재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은 어느 때 보다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러시아월드컵이라는 국제적 스포츠 행사가 선거 다음날 6.14일에 개최된다는 것도 하나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듯 이번 선거가 촛불집회, 탄핵정국을 통해 치러진 19대 대통령 선거에 비해 그 중요성이 적지 않음에도 뉴스의 초점이 되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지사 선거전만 해도 후보들의 정책의 실험장이 되지 못하고 가십과 과거 사건을 들춰내는 네가티브 전략이 여전히 작동되는 것은 선거문화의 후퇴를 보여주는 하나의 단적인 예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후보들은 자신의 정치적 프레임을 ‘박근혜 지킴이’, ‘한국당 아닌 척’, ‘文 아류 흉내’ 등으로 한정하여 선거운동을 하는 행태이고 보면, 어느 때보다도 유권자의 관심과 현명함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기도 하다. 


  투표는 하나의 자기 권리의 인식이며, 그것이 행동으로 이어질 때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1893년 뉴질랜드 여성이 최초의 참정권을 획득한 이래, 미국이 1920년에, 영국이 1928년, 일본이 1945년, 프랑스가 1946년 여성참정권을 수많은 여성의 죽음과 투쟁의 결과로 쟁취했으며, 단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여성의 경우는 2015년 투표권과 피선거권 부여 받음으로써 오래된 숙원을 풀었다. 이러한 지난한 과정에서의 참정권 획득, 다시 말해 투표는 정치적인 행위이기 이전에 휴머니즘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기말고사와 발표로 한 학기의 시간과 노력을 점검받는 지금, 여전히 캠퍼스는 성적표의 자장 안에서만 움직이고 있다. 여성평등, 이것은 제도적 차원, 법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때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금은 미래적 가치, 좀 더 거시적인 시각으로 참정권을 행사할 때이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