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근로자의 날’이 5월의 시작을 알렸다. 이날은 5인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유급휴일이 법으로 제정돼 있어서 관공서를 제외한 사업장이 휴무해야 한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날은 1923년 당시 조선노동총연맹이 주도해 노동절을 기념하는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 이승만 정권 때 3월 19일로 바뀌었다가 1994년에 와서야 5월 1일 근로자의 날로 자리 잡았다.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을 배경으로 대부분 서양 국가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갖췄다. 멈출 줄 모르는 기계에 의해 자본가는 더욱 많은 자본을 쌓았고, 노동자의 삶은 더욱 피폐해졌다. 이에 고용인과 피고용인은 소위 갑을관계로 자연스레 강자와 약자의 구조가 됐다. 자본주의 체제 아래 자본을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의 필연적 관계라고 할 수 있겠다.

1886년 미국의 노동자들은 지나친 작업 시간과 적은 보수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다. 인권과 권리를 주장하는 노동자 시위에 경찰이 투입됐고, 결국 유혈사태까지 이르렀다. 당시 자본주의를 비판하며 등장한 사회주의 운동 세력이 1889년 7월 파리에서 미국 노동자들을 기념하는 의미로 메이데이(May-day)를 선언했고, 현재 각 국가 노동절의 유래가 됐다.  
 
아직까지 세계 경제는 자본주의에 의해 굴러가는 중이고 우리나라도 이를 받아들여 세계 경제 10위권을 웃돌며 발전했다. ‘사회는 단순한 형태에서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며 강력한 것이 살아남는다’라는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은 19세기 자본주의 체제를 뒷받침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 국가는 사회 불평등의 심화라는 위기를 맞이했다.  
 
살아남기 위한 적자생존의 논리는 외려 인간을 도태시켰다. 가진 자의 삶은 향상했지만 없는 자의 고통은 늘어갔다. 경제는 성장했지만 그에 따른 윤리 의식은 성장하지 못했다. 애석하게도 세월호의 침몰로 드러난 정부와 해운업계의 정경유착도 그 단상을 보여준다.
 
자본주의 국가는 더 이상 적자생존의 논리에 사회를 맡기면 안 된다는 세계 경제학계의 논의에 동의하며 수정된 자본주의 체제를 지향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변화보다 먼저 각자의 자리에서 지켜야 할 윤리의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동덕여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